캐나다에서 유학할 당시 캐나다 친구와 언어교환을 했다.
나는 영어를 배우고, 캐나다 친구는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니즈가 딱 맞아떨어졌다.
이것저것 인터넷에 다니는 교재들을 다운로드하여서 가르쳐 주기를 2년 남짓하다 보니 아예 자격증 취득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한국어 교원 자격증에 대하여 알아보게 되었다.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면 교원 자격증 2급을 학점은행제로 취득 가능할수 있다.
교원 자격증 3급은 실제 필기, 실기 시험까지 직접 치뤄야 하는 부담감 있었고, 시간을 가지고 2급을 도전하기로 했다.
<아래 주요 정보는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원 자격 발췌>
한국어 교원이란?
- 한국어교원 자격 제도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국어교원이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일정한 법정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심사하여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시행 2005. 07. 28.)
- 한국어교원
한국어를 모어(母語)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
- 심사
한국어교원 자격심사위원회*(이하 심사위원회로 함)에서 한국어교원 자격 신청자가 법정 요건 및 기준을 갖추었는지를 심사.
심사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에 두며, 위원장 1인 포함 11인으로 구성
[심사위원회는 개인 자격 심사뿐만 아니라 이에 필요한 교육과정 및교과목의 법정 기준 적합 여부도 사전에 공적으로 확인(학위/양성기관 신청)]
- 한국어교원 자격증 취득자의 활동 영역
국내외 대학 및 대학부설기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이 개설된 국내외 초․중․고등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치는 국내외 정부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 등
국내외 세종학당 및 세종교실, 한국문화원, 한글학교, 한국교육원 등
해외 진출 기업체, 국내외 일반 사설학원 등
자격 등급 기준
한국어교원 자격은 높은 순으로 1급, 2급, 3급의 3가지 등급으로 구분.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취득 절차
위의 그림을 보면 3급 과정에서 양성과정 교육 이후 시험에 합격하면 되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3급 취득후 다시 2급을 위한 학점을 취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결국, 대학졸업후 학위가 있다면 학위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내게는 현실적이고 쉬운 방법이었다.
쉽게 말해서 학점은행제로 대학을 한번 더 다니고 전공학위를 따기로 했다.
참고로,
한국어 교원 2급은 자격증 교과목 포함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으로 학위취득을 해야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고
고등학교 졸업 및 전문대학 졸업자 경우 보유학점 및 학습시작 시기, 독학사 병행 여부 등에 따라 일정 상이할 수 있다.
한국어교원 이수 교과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휴넷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을 진행하기로 했고
22년 1학기 , 2학기 그리고 23년 1학기 총 3학기 진행과 실습을 병행하여 모두 수료하였다.
개인적으로 휴넷에서 수강한 것이 편했는데, 휴넷에서 문자 알림 등으로 일정 관리에 문제없이 챙겨주고
문의사항이 있을 때 전화 응대도 빠르고 쉬웠다.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수업 방식 체험담
- 온라인 수업 (휴넷기준)
해당 과목이 my 강의실에 생성되며, 온라인 동영상을 듣고 수업 진도를 나간다.
전공 교수님이 진도를 나가며, 진도율이 체크되어 내가 얼마나 들었는지 알 수 있다.
빨리 듣기등은 가능한데, 수업 진도를 나가야 다음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방식이라 점프하여 수업 진도를 나갈 수 없다.
퀴즈, 토론, 과제, 중간고사, 기말고사가 있으며 상대평가 과락 60점 이상을 받으려면 최소 퀴즈 응시 및 토론은 필수 이다.
내 경험상, 첫 학기 때는 과제 제출까지 해서 90점 이상 받기도 했는데 과제가 만만치 않아서 2학기부터는 과제제출 없이
시험 성적으로 수료했다.
-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온라인 수업이라서 치팅 가능할 것 같은데, 실제 cheating 방지 프로그램을 깔고 시험을 봐서 어느 정도 공부를 하고 시험을 봐야 한다. 객관식과 주관식 혼합이며 주관식은 워딩을 치는 방식이라서 띄어쓰기나 오타를 주의해야 한다.
- 실습
실제로 선생님이 되는 학위이므로 실습이 필수이다.
실습은 크게 2가지로 진행이 된다
(1) 청강
다른 선생님의 수업을 듣고 청강을 한다. 사전 청강을 위해 실습 스케줄을 정하고 주 2회 2시간~4시간 수업을 듣는다. 실습 이후 보고서를 제출해야 청강 학습이 인정된다. 코로나 팬더믹 기간이라 온라인으로 청강수업을 들었으며 실제 외국인노동자들을 가르치는 수업이라서 현실감 있는 수업현장에서 청강이 가능했다
(2) 모의 수업
교안을 작성하여 담당 교수님에게 첨삭을 받는데 30분가량의 모의 수업 2회 분량의 교안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모의 수업을 가지고 같이 수업 듣는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식이다. 학생들 모두 선생님을 한 번씩 해보게 되는 셈인데 실습수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모의 수업 진행은 현역에 계신 교수님이 라이브 수업으로 진행해 주신다.
학위 취득 및 자격증 신청 과정
- 학위 신청
학점은행제를 통한 학위 신청은 아래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하다. 성적표등을 제출하는 기준이 있으므로 자세히 확인하고 제출하면 된다.
학위신청 안내 | 학위신청 | 학점은행
홈으로 이동 학위신청 학위신청 안내 이전학위신청 안내 학위란? 학위란,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시설에서 수여 받은 학업수준을 가리키는 말로써, 일정 수준의 학술상 능력이나 성과에 대하여
www.cb.or.kr
- 학위증서
실제로 받은 학위이며, 상장 형식으로 발급되었다. 학점은행제로 신청한 학위는 교육부장관명의로 발급된다.
- 한국어 교육 2급 자격증 신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 학위는 자격증이 아니다. 그러므로 국립국어 교육원에 자격증 신청을 해야 하며,
신청기간 및 심사기간이 따로 있다.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kteacher.korean.go.kr
한국어 교원 자격증 신청 대상 및 시기
- 대상
한국어교육 전공과정이 개설된 대학 또는 대학원 (학부,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등 각 전공 과정별)
학점은행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과목) 운영기관
양성기관
- 시기
연 2회 (12~2월, 6~8월)
[자격증 신청 방법 안내]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신청 준비 중(학위증은 이미 받음) 국립국어원에서 12/4~13일까지 신청
학위를 받았다고, 교원 자격증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사실 이전에 두 개가 같은 것인 줄 알았으나, 최근 ...
blog.naver.com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영어동화 구연 자격증 취득 가능 방법 (0) | 2024.07.28 |
---|---|
경기사이버대학원 글로벌 한국학_한국어 교원자격증 취득 가능 (0) | 2024.07.18 |
<24년 의료 통역 전문과정 > 신청 방법 및 기간 안내 (1) | 2024.02.12 |
<컨벤션기획사 2급> 24년 시행 공고 (0) | 2024.01.10 |
<국내여행안내사> 자격증 취득 필기 면접 노하우 (2)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