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경기사이버대학원 글로벌 한국학_한국어 교원자격증 취득 가능

by 남쪽 아침 2024. 7. 18.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3급 과정을 취득하는 것은 학점 은행제로 가능하다.

그러나 석사과정은 학점은행제로는 불가하다.

실제로 대학원에 가서 수업을 듣고 논문을 제출하거나 관련 보고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제출해야 한다. 

 

오프라인 참석이 어려운 직장인이나 해외 거주자들에게 희소식이 있다.

바로 경기사이버대학원 글로벌 한국학이 있고, 온라인으로 석사 취득이 가능하다.

 

24년도는 신청마감이며 25년도 신청 받을 예정이다. 

 

 

 

 

글로벌한국학

YTN 사이언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는 어떻게 대비하는가 교육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접목 시킨 '경희사이버대학교' 하루동안 열지 않음

grad.khcu.ac.kr

 


 

국립국어원 > 한국어 교원 > 온라인 > (사이버) 대학원

 

을 검색하면 경기사이버대학원 글로벌 한국학 전공이 검색된다.

유일하게 석사를 받을수 있는 과정이다.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kteacher.korean.go.kr

 

한국어교원 자격증 취득 가능하다.  (국립국어원 > 한국어 교원 > 교육기관 > 검색)

 


 

전공특징 

 

연번구분학습역량명학습역량 정의

1 기본 학문적 글쓰기 대학원 과정의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고급’ 수준의 글쓰기 능력임. 온전함(integrity), 자연스러움(spontaneity), 독창성(originality)을 포함하며, 논증력을 갖추고 자료(data)를 산출, 가공하여 이를 구조적으로 조직화하는 능력임
2 기본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상황에서 언어의 실제적 수행력(actual performance)과 연결된 능력으로서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교류를 정확히 인식하는 능력임.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필수적으로 강조되는 외국어 구사 능력을 포함함
3 기본 자기조절 독립적이고, 자기 동기화되며(self-motivated), 자기 주도적인 학습 역량을 갖춘 인재가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서, 정보가 풍부한 학습 환경에서 지식을 찾아내고, 선택하며, 종합하는 과정을 스스로 진행할 수 있는 능력임
4 기본 비판적 사고 사려 깊고 통찰력 있는 방식으로 문제 상황을 고려하는 태도를 지니며, 효과적으로 ‘판단’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논리적 연구(logical inquiry)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임
5 전공 학문적 통섭
(統攝; Consilience)
한국학, 한국어학, 한국 문화, 한국어 교육학, 다문화 관련 학문 등의 전공 학문과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소양 및 자질을 연계?통합하여 자기 지식화하며, 이를 여러 가지 문제 상황과 연계하여 사고할 수 있는 능력임
6 전공 한국어문화 교수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함께 언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의 제반 교수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습득함으로써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임
7 전공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 콘텐츠 개발, 교육과정 편성, 관련 교육 자료 개발 등을 위해 창의적인 사고와 아이디어 구성 능력을 갖추고 이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한국어, 한국학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능력임
8 전공 문화 간 소통 네트워킹화된 지식 정보화 사회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자문화(自文化)에 대한 심층적 이해는 물론, 외국인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태도를 가지며. 스스로 타문화를 수용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임
9 전공 문제 해결 국내외를 막론하고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을 포함하는 한국학 전 영역에 걸쳐 매우 가변적으로 전개되는 다양한 현장 상황에 적극 대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임
10 특성화 글로컬리더십
(Glocal Leadership)
현 시대에 가장 필요한 것은 전통적 범용 한국학(汎用韓國學)보다는 로컬리즘(localism)에 입각한 새로운 개념의 글로벌 한국학임을 인식하고, 국가적 롤-모델(role-model)을 제시하는 한국학의 특성에 합당한 지식과 통찰력을 겸비할 수 있는 능력임

 

 

 

진출분야

개인이 갖춘 다양한 능력을 한국학과 연계 통합함으로써 통섭적 능력을 갖춘 인재로 육성함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교육 기관, 정부 사회단체 및 연구 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합니다.
교육 기관정부 · 사회단체연구 분야
-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사
- 국내 외국인 학교의 한국어 교사
- 국내 이민자 자녀 및 귀국 자녀 대상 한국어 교사
-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 및 한국학과의 원어민 교수
- 해외 한국학교의 중등 과정 한국어 교사(한국학교)
- 해외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사(한글학교 등)
- 해외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사
해외 파견 한국어 봉사단원(외교통상부 KOICA 등)
외국인 지원 센터,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 외국인 근로자 지원 센터 등 정부?지자체 또는
민간 단체의 한국어 과정 코디네이터, 한국어 교사
한국 문화 관련 정부 기관 및 민간 단체 실무 담당자
한국 기업체의 외국인 근로자 위탁 교육 교사
한국학 · 민족학 · 지역학 연구자
문화 간 소통(Inter-cultural communication) 연구자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교재?콘텐츠 개발자
e-러닝을 위한 한국학 콘텐츠 개발자
대학원 진학(박사과정)

 

 

졸업기준

졸업을 위해 이수해야 할 조건

졸업기준상세 조건수료조건
5학기 이상 이수 졸업사정 학기 기준 5학기 이상 이수한 재학생 또는 수료생
(단, 조기졸업신청자는 4학기 이상 이수)
O
24학점 이상 취득 이수학점의 합이 24학점 이상 O
평균평점 3.0 이상 총 취득학점의 평균평점 3.0 (B) 이상 O
전공필수 이수 전공별 이수요건 확인 O
선수과목 이수 전공별 이수요건 확인
비전공자로서 선수과목 면제 신청을 승인받지 않은 경우 전공에서 지정한
선수과목 이수성적은 P/F로 표기
수강신청학점, 졸업이수학점, 평점 등에 반영하지 않음
O
외국어시험 합격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 취득 시 합격
또는 외국어 대체 과정으로 인정 받은 자
 
전공시험 합격 총 3과목 시험 응시, 3과목을 각 70점 이상 취득 시 합격  
논문(과제)심사 합격 또는
논문대체학점 이수
학위논문과정: 논문심사 합격
창조연구과정: 연구과제 심사 합격
학점대체과정: 논문대체학점 이수(6학점)
5기에 과정변경신청 후 6학점을 이수하면 논문대체학점으로 인정
 

 

온라인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경희사이버대학교 (유튜브)